본문 바로가기

의학정보/목, 어깨

[질병] 이두근건증(Biceps tendon tendinosis)

728x90

 

안녕하세요.

통증엔 닥터 리 입니다.

 

 

이두근건증이란?

▶ 이두근건증이란?

  • "이두근건증"은 팔의 알통근육인 이두근 힘줄이 퇴행되어 약해지고 두꺼워진 질병입니다.
 
 

▶ 건염과 건증의 차이

  • 이두근건병증은 이두장건(Long head tendon of biceps brachii)에 염증이 생기는 "건염(Tendinitis)"과, 오랜 시간 퇴행되면서 힘줄이 변성되는 "건증(Tendinosis)"으로 나뉩니다.

  • 이두근건증은 이두근의 힘줄이 당겨지고 쓸리면서 미세하게 뜯어졌다 아물었다를 반복하면서 힘줄의 구성 성분이 약하게 변성되는 것입니다. (이때 "건=힘줄"입니다.)

  • 힘줄은 콜라겐 타입 1형으로 대부분 이루어져 있습니다. 콜라겐의 유형은 실의 종류라고 보시면 됩니다. 가장 딴딴한 실이 1형입니다. 콜라겐 1형으로 대표적으로 직접 볼 수 있는 게 머리카락, 손톱입니다. 꽤 단단하죠.
 
 

▶ 힘줄의 회복 단계

  • 아래 그림은 힘줄의 회복 단계를 보여줍니다. 힘줄을 치료하려면 손상 부위가 언제, 어떻게 변하는지 알고 있어야 하겠죠?
    1. 염증 : 힘줄이 손상돼서 염증이 발생하는 시기로 수시간에서 수일 동안 지속됩니다.
    2. 회복기 : 염증 후 회복되는 단계로서 이때는 힘줄이 원래 1형 콜라겐이 아닌 3형 콜라겐으로 우선 손상된 부위가 급하게 메꾸어집니다. 이때 3형은 1형에 비해서 약합니다. 이 시기는 수 일에서 수 주가 걸립니다.
    3. 리모델링기 : 급하게 3형 콜라겐으로 메꾸어졌던 부위가 서서히 1형 콜라겐으로 리모델링 되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는 수 주에서 수개월, 또는 수 년이 걸릴 수 있습니다.
 
 
  • 아래는 좀 더 자세하게 작성된 힘줄 손상의 회복 단계입니다.

 

 

이두근건증의 진단

 

증상

  • 이두건증은 이두건염과 다르게 확인하기 애매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염증이 있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명확한 운동 제한이나 통증이 애매모호할 수 있습니다.
  • 다만 특징적으로 통증 부위가 어깨 앞쪽이고, 팔을 들어 올리거나 팔을 굽힐 때 날카롭다기보다는 뻐근하거나 모호한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그리고 어깨를 움직일 때 "툭툭"거리는 소리가 있을 수 있습니다. 힘줄이 두꺼워지고, 주변에 뼈나 인대에 스치고 걸리면서 소리가 나는 것입니다.
  • 이두근건이 상완골두를 지나는 부위인 어깨 앞쪽에 직접적으로 압통이 있을 수 있지만 명확하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초음파 소견

  • 정상 소견으로서 A는 이두장건의 단축 영상입니다. 화살표 부위가 이두장건이며 고음영(흰색)으로 관찰되고, 힘줄 주변은 윤활 집 내 용액으로서 저 음영(어두운색)으로 관찰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때 이두장건은 상완골의 홈 사이에 쏙 들어가 있는 것이 정상 크기입니다.
  • B는 장축영상(Long axis view)이고 잘 빗어진 머리카락과 같은 섬유양상(Fibrillar pattern)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 비정상 소견으로는 이두근건이 정상 크기보다 커져서 상완골의 홈에서 넘쳐흐를 듯이 관찰될 수 있고, 내부 초음파 음영이 어둡게 관찰되고, 힘줄 주변에 혈관이 과생성(Hypervascularization)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이두근건증의 치료

 

 

비 수술적 치료

▶ 휴식, 진통소염제, 물리치료, 침

▶ 주사치료

  • 염증은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스테로이드 주사는 크게 효가가 없습니다. 다만 이 두 근 건 주변에 염증물질이 쌓여있을 수 있기 때문에 주사를 통해서 한두 번 염증물질을 세척해 주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어서 통증이 있다면 치료 초반에 시술해 볼 수 있습니다.
  • 초음파상에서 이두근건 주변에 특별한 물참 소견(Effusion)이 없다고 해도 보이지 않는 염증물질 축적이 있을 수 있어서 주사 시 통증 완화가 될 수 있습니다.
  • 주사 시 이두근건 위에 인대(THL, Transverse humeral ligament)를 뚫고 동맥(Anterior circumflex a.)를 피해서 별표가 쳐진 힘줄 껍질(Tendon sheath)에 주입합니다.
  • 환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시술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시술자도 편합니다.
  • 주삿바늘의 방향은 상완골의 소전자를 향해서 바늘이 진입해야 동맥(Ascending branch of the anterior circumflex a.)을 안 찌를 수 있습니다.
 
 
  • 위 주사치료의 타깃 외에 오훼상완인대(CHL)의 아래쪽으로 접근해서 주사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이 부위 또한 염증물질이 쌓여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충격파 치료

  • 충격파 치료를 통해 혈류 생성을 돕고, 회복을 도울 수 있습니다. 다만 심하게 진행된 건증 상태는 회복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수술적 치료

  • 증상 호전 없이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준다면 문제가 되는 이두근건을 절제하거나 절제해서 아래 고정해 주는 수술을 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하면 좋은 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WnlmaE5z9h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