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정보/무릎, 발목, 발

[질병] 발 바깥쪽 통증, 비부골 증후군 (Os peroneum synd.)

728x90

 

 

안녕하세요.

통증엔 닥터리 입니다.

 

 

개요

비부골은 장비골근(peroneus longus)의 힘줄 안에 있는 종자골(Sesamoid bone)으로서, 보통 말랑말랑한 연골 형태로 존재하지만, 5명 중 1명에서는 완전히 골화되어 딱딱하게 관찰될 수 있습니다.

비부골(Os peroneum)이 문제가 생겨서 발 바깥쪽 통증이 생기면 비부골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흔하지는 않습니다.

비부골이 관찰되는 위치는 장비골근힘줄이 종골(Calcaneus)과 입방골(Cuboid)관절 사이의 아래쪽의 터널(Cuboid Sulcus) 부근에서 관찰됩니다.

 
 

비부골의 위치는 Calcaneocuboid joint line에서 앞뒤 1cm으로 존재합니다. 따라서 1cm보다 근위부에 존재한다면 장비골근힘줄의 파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비부골을 가진 사람에서 30%에서는 두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Bipartite) 이렇게 원래 두 개인 경우는 골절과 구별돼야 합니다. 참고로 비부골 골절은 흔하지 않기 때문에 보통 Bipartite로 보면 됩니다.

비부골이 있는 사람의 60%는 양쪽 발에 모두 있습니다.

 

 

 

비부골 증후군의

원인과 증상

비부골 증후군 원인은 일반적으로 발의 내번에 의한 염좌(Inversion spraind)나 과사용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문제가 생기면 바깥쪽 발에 통증과 부종이 발생됩니다.

 
 

 

진단

영상검사

▶ X-ray

이미지상에서 비부골이 두개로 이루어져 있는지(bipartite) 또는 비부골의 골절을 확인합니다. 앞서 말했든 골절보다는 Bipartite가 대부분입니다.

비부골이 Calcaneocuboid joint에서 1cm 근위부로 보인다면 장골근힘줄이 찢어진 것입니다. (단 비부골보다 근위부에서 찢어진다면 이렇게 관찰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비부골의 위치로 골절 비골절을 판단해서는 안 됩니다.)

 

아래 그림처럼 b와 같이 끊어지게 되면 비부골은 정상 위치에 있어 보일 수 있으므로 비부골이 정상에 있다고 해서 장비골근힘줄이 정상이라는 오류를 범하면 안 됩니다.

드물지만 비부골이 쪼개진 면을 따라서 장비골근힘줄이 파열되는 경우에는 엑스레이상에서 두 조각의 거리가 6mm를 넘게 되면 파열이라고 봅니다.

아래 우측 이미지에서 보면 두개로 쪼개진 비부골이 하나는 외측 복숭아뼈에서 관찰되고, 하나는 Cuboid tunnel 쪽에서 관찰되므로 장비골근힘줄의 파열을 확인 가능합니다.

비부골의 위치에 따라서 장비골근힘줄이 얼마나 말려들어갔느냐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발목 외측에 Inferior retinaculum과 Superior retinaculum의 손상 여부를 엑스레이상에서 비부골의 위치에 따라서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 초음파

장비골근힘줄을 직접 관찰하여 부종, 파열을 확인 가능합니다.

Ultrasound images obtained longitudinally (c) to the peroneus longus tendon show the distal fracture fragment (arrow head) and a proximal fracture fragment (arrow) near to the level of the lateral malleolus. Between the bone fragments, there is some liquid and debris (yellow arrows).

 

 

▶ CT, MRI

비부골과 장비골근힘줄의 상태, 골절, 등을 관찰합니다.

아래 MRI에서는 참고로 비부골이 두개로 쪼개지고 장비골근힘줄이 파열된것을 보여주는 영상입니다.

아래 3D 영상에서는 검은색 화살표는 단비골근을 가리키고 있고, 끊어지지 않은 것을 확인 가능합니다. 장비골근힘줄은 말려서 위로 올라가있습니다.(빨간 화살표)

Volume rendering CT scan of the ankle (f), (g) show the proximal fracture fragment retracted by the peroneus longus tendon (red arrow). Note the normality of the peroneus brevis (black arrows)

 

 

감별진단

비골건초염

입방골의 골절(Cuboid fx)

제5 중족골의 견열골절(Avulsion fx)

외측 인대 손상

성장판(Apophysis) : 정상 구조물로서 인대나 힘줄의 뼈 부착부입니다. 보통 여아 10세, 남아12세까지 보이고, 2~4년 내 융합됩니다. 이 경우를 골절로 오해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Iselin's dz : 성장판(Apophysis)에 염증이 생긴 것

https://www.sportsmedreview.com/blog/iselins-disease/

Os vesalianum pedis

Accessory bone으로서 5번째 중족골의 기저부에 위치해있습니다. 100명 중 0.1~1명이 가지고 있습니다.

Differential diagnosis of OVP, which may have similar radiographic appearance. a Os vesalianum pedis. b Os peroneum. c Normal apophysis of the 5th metatarsal. d Iselin’s disease. Please note the irregular apophyseal line and fragmentation (red arrows). e Avulsion fracture (white arrow) in the presence of apophysis (red arrow). f Jones fracture at the metaphyseal-diaphyseal junction. g Pseudarthrosis of avulsion fracture of 5th metatarsal bone

 

 

치료


▶ 휴식, 진통제, 냉찜질

▶ 스테로이드 주사

필요시 비골근 옆에 있는 비골 건초에 스테로이드를 주사하면 부기를 줄이고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 수술

다른 치료가 실패할 경우 뼈를 제거하거나 힘줄집을 수리하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Iselin's Disease - Sports Medicine Review

Iselin disease is traction apophysitis of the fifth metatarsal base that is most likely an underdiagnosed condition.

www.sportsmedreview.com

 

 

 

유튜브, 네이버 블로그 - "통증.N 닥터리"
현) "서울제일한방병원" 통증의학과 원장

 

 

통증.N 닥터리 유튜브 주소)

네이버나 유튜브에서 "통증.N 닥터리"를 검색하세요.

https://www.youtube.com/@user-bo1lt3xt1e

 

통증엔 닥터리

마취통증의학에서 다루는 질병들과 마취 지식을 알려드리는 채널입니다. 시간이 날 때 틈틈히 혼자 제작하는 거라서 업로드가 다소 느릴 수 있어 양해바랍니다. 감사합니다

www.youtube.com

 

통증.N 닥터리 블로그 주소) 

https://blog.naver.com/1st_care_center

 

통증엔 닥터리 : 네이버 블로그

건강은 최고의 선물이며, 만족은 최고의 자산이며, 믿음은 최고의 관계이다. [유튜브 - 통증엔 닥터리] https://www.youtube.com/@user-bo1lt3xt1e [현 근무처] 서울제일한방병원 - 통증의학과 <의학석사> <마

blog.naver.com

 

제일한방병원 블로그 주소)

 https://blog.naver.com/brynowon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하트 꾸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