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정보/등, 가슴

"늑골골절"이 되면 병원에서는 어떤 치료를 할까요?

728x90

 

 

 

 

안녕하세요. 통증 엔 닥터 리 입니다.

 

병원에 "늑골골절"로 내원하시는경우가 꽤 많습니다.

원인은 재채기부터, 외상에까지 여러 원인이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늑골골절의 치료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늑골골절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싶으시면 아래 포스팅을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brynowon/223134330869

늑골골절의 치료

 

-대부분의 늑골골절은 비수술적 치료로 충분합니다.

-심하지 않은 늑골골절의 경우에는 통원치료로도 충분하지만, 골절이 심하거나 통증이 심한경우에는 입원하여 휴식하고, 치료받는것이 회복이 빠릅니다.

 

 

비수술적 치료

 

 

▶ 통증조절

통증의 치료는 진통제 투여가 우선됩니다. 통증이 너무 심하면 근육 또는 정맥을 통한 진통제를 주사하거나, 늑간신경차단술 등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간혹 골절 후 오랫동안 만성 통증에 시달리는 환자의 경우 늑간신경차단술이 추천됩니다.

 

"늑간신경차단에 대해 더 자세히 궁금하시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brynowon/223141178056

▶ 가슴복대

골절된 늑골의 유합을 위해 최대한 고정시키기 위해서 복대 같은 것을 겹쳐 조이거나 부드러운 쿠션으로 압박을 가해주게 됩니다. 골절의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4~6주간은 착용하는것이 좋습니다.

▶ 늑골골절 후 생활

보통 통증이 유발되지 않는 자세는 큰 문제가 없으므로 금지된 자세는 없습니다. 그리고 가벼운 걷기정도는 가래배출을 쉽게해주고, 심폐기능 회복과 혈액순환에 도움을 줍니다.

 

 

수술적 치료

 

▶ 동요흉

다발성 늑골골절 중 한개의 늑골에서 두 군데이상 골절이 되면 부러진 가운데 조각이 덜렁거리면서, 숨을 들이쉴때마다 흉곽 안쪽으로 빨려 들어가는 동요흉(flail chest)이 생기면 정상적인 호흡이 안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서 호흡이 어려워지고, 가래를 잘 못뱉어내고, 심해지면 기도가 막혀서 폐가 허탈되는 무기폐 또는 폐렴이 진행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늑골을 고정해주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늑골골절 시 주의환자

 

 

통증으로 기침을 잘 못하여 가래배출이 안 되면 무기폐, 폐렴 같은 합병증으로 입원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며, 특히 폐의 염증성 기저질환(폐렴, 결핵, 늑막염 등)을 앓고 있던 분이나 만성 호흡기 질환으로 평소에도 숨이 찬 사람에게 늑골골절이 생기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으니 이러한 기저질환이 있는 분들은 각별히 신경써야합니다.

 
 
 

늑골골절 회복 확인 방법

 

 

▶ 늑골골절 후 회복 확인

뼈가 잘 붙었다는것은 새 뼈(가골)가 방사선촬영에서 보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약 4–6주 정도 시간이 걸리게됩니다.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큰 문제가 될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