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반달연골이란 말 그대로 반달처럼 생긴 연골입니다. 한 무릎에서 내측에 하나, 외측에 하나 이렇게 2개의 반달 연골이 하나의 무릎에 있습니다.
▶ 반달 연골의 기능
- 충격 흡수(Shock absorption)
- 관절 윤활 역할(Joint lubrication)
-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Joint stability)
- 무릎의 고유감각(Proprioception) : 내 무릎이 제 위치에 있는 느낌을 자각하는 것
- 반달 연골에서 특히 내측반달연골은 내측측부인대와 관절낭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반달연골파열보다 더 흔합니다.
▶ 반달연골 파열 패턴
- 수평파열(Horizontal or Transverse) -> 심해지면 수평 플랩(horizonal flap)
- 세로(longitudinal) -> 심해지면 버킷 핸들(Bucket-handle)
- 방사형 또는 직각형(Radial or Perpendicular) -> 심해지면 앵무새 부리(falp or Parrot beak)
- 뿌리 분리(Root Detachments)
- 퇴행성(Degenerative)
▶ 반달연골 혈류
- 바깥쪽 1/3은 혈류가 많은 Red zone이고, 중간 1/3은 혈류가 일부 존재하는 Red-White zone, 안쪽 1/3은 혈류가 없는 White zone입니다.
- 혈류가 많은 Red zone은 잘 회복되는 편이므로 비수술적 치료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White zone까지 손상되면 회복이 안되므로 수술적 치료로 다듬어야 할 수 있고, 수술을 해도 잘 회복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달 연골 파열 증상
- 무릎 관절면을 따라 통증
- 무릎의 부종
- 평지는 괜찮지만, 비탈진 길이나 계단을 내려갈 때 아픈 경우
- 쪼그리고 앉을 때 무릎이 시큰거리거나, 쪼그려 앉기가 어려움
- 무릎 붓기와 뻣뻣함, 특히 외상 후 2~3일에 걸쳐 서서히 증가
- 걷다가 다리에 힘이 빠지거나, 무릎에 무력감을 느낌, 불안정을 느낌
- 무릎 안에 무언가 걸려서 잘 펴지거나 굽혀지지 않는 경우(Locking) - Longitudinal tear와 Bucket handle tear
- Locking 유발되는 경우 : MM tear, Intra-articular tumor, Osteocartilage loose body, ACL cyst, 등
- False locking : Hemarthrosis, hamstring m. spasm
- 무릎을 펴려고 할 때 펼 수는 있지만 통증 때문에 잘 펴지 못하고, 무언가 걸린 느낌이 들다가 풀어지면서 펴지는 증상(Catching) : 반달 연골의 찢어진 조각에 의해서 걸린듯한 느낌
진단
- 정확히 진단 가능한 하나의 검사는 없습니다.
신체검사
1. 촉진(가장 중요)
- 관절 라인을 따라서 촉진 시 압통 여부 확인합니다.
- 흔하게 후외측, 후내측에 통증이 많은 편입니다. 반달 연골은 신경이 없기 때문에 주위의 관절 캡슐이나 활액막의 염증으로 발생합니다.
- 후각부의 파열이 있어도 앞쪽을 누르면 압통이 있을 수 있습니다. 결국 반달 연골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앞쪽을 눌러도 연골이 밀리면서 주변에 조직에 닿으며 통증이 발생 가능합니다.
2. 맥머레이 검사
- 반달연골파열진단에 좋은 검사입니다.
- 이 검사는 반달 연골의 뒤쪽을 주로 검사하고, 중간 앞쪽 반달 연골도 검사 가능합니다.
- 완전히 굽힌 상태 ~ 90도 굽힘 시 양성 : Posterior peripheral tear
- 무릎이 어느 정도 펴진 상태에서 양성 : Middl or anterior tear
- 먼저 무릎을 최대한 굽혀준 후 경골을 내회전을 시킨 후 무릎을 펴주게 되면 외측반달연골의 뒤쪽부분을 검사하는 것입니다.
- 반대로 경골 외회전을 시킨 후 무릎을 펴주게 되면 내측반달연골의 뒷부분을 검사하는 것입니다.
- 이 검사가 양성인 경우는 검사 도중에 환자가 클릭킹, 무릎 잠김,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됩니다. 다만 양성일지라도 다른 질병 때문일 수 있습니다.
3. 어플리테스트
- 환자를 엎드리게 한 후 무릎을 90도로 굽히고 먼저 양손으로 발을 위로 들어올린상태에서 좌우로 회전시켜줍니다.
- 이때 발이 돌아갈 때 통증이 있고, 정상 부위보다 더 많이 회전된다면 인대 문제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 발을 수직으로 누른 후 역시 양쪽으로 회전시켜줍니다.
- 이때 발이 돌아갈 때 통증이 있고, 정상 부위보다 덜 회전된다면 반달 연골 문제일 수 있습니다.
4. 테슬리 테스트
- 반달연골검사에서 정확한 검사는 아닙니다.
- 하지만 누워서 하는 검사가 아니라 비교적 간단하게 체크해 볼 수 있는 검사 방법이 되겠습니다.
- 환자를 한발로 무릎을 살짝 굽힌 채 서게 한 후 환자의 손을 잡아준 다음에 몸통을 좌우로 돌려줍니다.
영상검사
▶ 엑스레이
- 골절, 퇴행성관절염, 대퇴슬개증후군, 등의 질병들을 감별하기위해서 반드시 찍습니다.
- AP & Lat
- Posenberg view(Flexion PA view) -> Posterior MM root tear진단에 유용(https://pubmed.ncbi.nlm.nih.gov/32660582/)
- Merchant view(Modified Sunrise view)
▶ MRI
- 가장 핵심적인 검사로서 파열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고, 다른 질환들도 감별할 수 있는 강력한 검사방법입니다
"MRI 소견은 아래 링크에 정리되어있습니다."
- MRI소견상 퇴행성변화를 급성 손상과 구분해야 합니다. MRI 상에서 반달 연골 내부에 저 음영이 안쪽까지 깊게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고령 환자에서 흔히 관찰되는 퇴행성 변화라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 초음파
- 내측반달연골의 모양과, 튀어나온 정도, 연골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초음파 검사는 아래 링크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비수술 치료
- 어떠한 종류의 파열이든 초기 급성기 치료는 RICE입니다. 휴식, 냉찜질, 압박, 거상입니다.
▶ 무릎 연골판 파열 시 고정기간
- 6~8주를 고려합니다.
파열종류별 치료와 경과
1. 수평파열
- 퇴행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증상이 없고, 무릎 통증과 관련이 없을 수 있습니다.
- 수평 파열은 말 그대로 연골판이 수평으로 중간 부분만 파열된 것으로 연골판의 원주 방향의 섬유 연속성은 유지되므로 하중의 지지와 충격 흡수의 기능이 보존되므로 수술에 대해서 신중한 고려가 중요합니다.
- 수평파열에서의 수술 적응증
- McMurray test 양성
- 잠김, 소리, give-away weakness등의 기계적 증상이 확실할 때
- 최대 6개월의 비수술적 치료 후에 수술이 필요할 정도로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
- 아래 논문에서처럼 수평 파열의 경우 비수술적 치료는 70%의 회복 성공률을 가지므로 우선 보존치료를 해보는 것이 근거가 됩니다.
- 비수술적 치료로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진통제, 근력 강화 운동, 약간의 물리치료가 포함됩니다.
- 요인에 관계없이 반월판 수평 파열 환자의 70%가 비수술적 치료에 성공적이었습니다. 따라서 반월상연골 수평 파열의 일반적인 1차 치료는 비수술적 치료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환자가 내반 슬관절 정렬이 진행된 연골 병변이 있는 경우 환자에게 나쁜 결과에 대해 경고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반대로 MRI로 확인된 파열폭이 넓거나 연골 병변이 미미한 환자라면 관절경 수술이 좋은 치료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2. 퇴행성 파열
- 퇴행성인 경우에는 수술 없이 우선 보존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보통 파열이 발견되기 오래전에 이미 파열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처음 통증이 발생한 후 관리에 따라서 통증은 2~6개월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3. 플랩파열, 버킷핸들파열
- 지속적인 통증과 무릎의 잠금 및 불안정성이 클 가능성이 높으므로 처음부터 수술을 고려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수술 치료
- 과거에는 반달 연골의 중요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연골판이 찢어지면 우선 절제술을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많은 연구에서 무분별한 반월판 절제술은 무릎 관절염을 빠르게 발생시키는 부작용이 있었기 때문에 꼭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절제술을 하는 것이 옳습니다.
(1) 수술 방법
- 수술의 종류는 연골판에 혈액 공급의 해부학적 정도에 따라서 다릅니다.
-
- 봉합술
- 혈액이 잘 공급되는 연골판의 가장자리에 손상이 있거나, 연골 손상 부위의 가장자리가 깨끗하면 관절경을 통해서 연골판을 꿰매주는 봉합술을 시행합니다.
-
- 봉합술 후 4~6주간 무릎관절은 고정되고, 4~6주 후부터 조금씩 체중 부하가 허용되고, 수술 후 6주 이후부터는 정상체중 부하가 허용됩니다. 정상적인 운동은 최소 4~6개월 후부터 하는 것이 좋습니다.
- 봉합술의 방법은 아래 표에서처럼 파열 위치와 종류에 따라서 다릅니다.
- 아래는 Radial tear의 사례를 봉합술로 Outside-in technique으로 꿰맨 상태입니다.
- 제거술
- 혈액이 잘 공급되지 못하는 연골판 안쪽 부분이 손상되거나, 손상된 연골판이 꿰맬 수 없이 지저분할 때는 아예 연골판을 절제하고 다듬어서 나풀거림을 없애서 추가 손상을 막는 수술을 하게 됩니다.
- 재거술은 봉합술과 달리 다듬은 상태이므로 운동은 수술 후 4~6주 후부터 가능합니다.
(2) 수술의 적응증
- 젊고 활동적인 경우는 봉합술
- Vertical tear(Radial이나 Falp이 포함)에서 1cm 이상이면 봉합
- 불안정성 동반시
- 10~30%의 Red-white zone범위까지 파열이 있는 경우 봉합
(3) 수술의 성공률
- 아래 표에서 합산 5점이 넘어가면 봉합술의 성공률이 떨어지는 것을 보여줍니다.
- 파열 위치 : 반달 연골 중심축에 가깝게 찢어질수록 혈행이 좋지 않아 봉합술의 성공률이 떨어지는 것을 보여줍니다.
- 나이 : 40세 이상이면 봉합술의 성공률이 떨어지는 것을 보여줍니다.
- 크기 : 2cm 이상 찢어지면 봉합술 성공률이 떨어집니다.
- 조직 상태 : 조직 상태가 깨끗한지, 지저분한지 정도에 따라서
- 그 외 특징 : 불안정 정도, 부정 정렬, 연골연화증 3단계, 방사형 파열
- 특징적으로 ACL이 파열되어 있는 경우에는 봉합술을 같이 해주는 것이 오히려 좋은 예후를 가집니다.
- 특히 40세 이후에 방사형 파열(Radial tear)은 4점이 돼버리므로 봉합수술 예후가 좋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유튜브, 네이버 블로그 - "통증.N 닥터리"
현) "서울제일한방병원" 통증의학과 원장
통증.N 닥터리 유튜브 주소)
네이버나 유튜브에서 "통증.N 닥터리"를 검색하세요.
https://www.youtube.com/@user-bo1lt3xt1e
통증.N 닥터리 블로그 주소)
https://blog.naver.com/1st_care_center
제일한방병원 블로그 주소)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하트 꾸욱
첨부파일
vonengelhardt2007.pdf
'의학정보 > 무릎, 발목, 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료] 무릎연골주사에 대한 QnA (1) | 2024.01.05 |
---|---|
[검사] 무릎반달연골파열 MRI 소견 (2) | 2024.01.03 |
[질병] 발뼈골절-리스프랑골절(Lisfranc fx) (1) | 2023.12.29 |
[질병] 발목터널증후군(Tarsal tunnel syndrome) (1) | 2023.12.23 |
[질병] 족근동 증후군(Sinus tarsi syndromel; STS) (1) | 2023.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