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32)
[질병] 흉추, 요추 후관절 증후군(Facet joint syndrome) 안녕하세요. 통증 엔 닥터리 입니다. 1. 척추 후관절이란? 후관절은 척추의 뒤쪽에있는 작은 보조 관절입니다. 보통은 척주가 대부분의 70~80%의 하중을 커버하고, 후관절이 남은 20~30%의 하중을 분산해서 담당하게되는데, 척주관절에 여러 원인으로 불안정성이 생기면 후관절이 감당못하는 하중이 가해지면서 염좌나 퇴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후관절통증은 보통 만성 LBP의 15~40%정도를 차지하고있습니다. 정상 후관절에는 1~1.5ml정도의 관절액이 있습니다. 상부요추의 후관절일수록 후관절면의 각도가 Sagittal 면에 가깝고, 하부요추의 후관절일수록 Coronal면에 가깝게 누워있습니다. 그래서 손상받는 기전은 상부요추후관절인 L1-2-3-4까지는 몸통의 측굴일 때 발생하고, L4-5-S1은 몸을 ..
[질병] 무릎반달연골파열(Medial meniscus tear) 반달연골이란 말 그대로 반달처럼 생긴 연골입니다. 한 무릎에서 내측에 하나, 외측에 하나 이렇게 2개의 반달 연골이 하나의 무릎에 있습니다. ▶ 반달 연골의 기능 충격 흡수(Shock absorption) 관절 윤활 역할(Joint lubrication)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Joint stability) 무릎의 고유감각(Proprioception) : 내 무릎이 제 위치에 있는 느낌을 자각하는 것 반달 연골에서 특히 내측반달연골은 내측측부인대와 관절낭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반달연골파열보다 더 흔합니다. ▶ 반달연골 파열 패턴 수평파열(Horizontal or Transverse) -> 심해지면 수평 플랩(horizonal flap) 세로(longitudinal) -> 심해지면 버킷 핸들(B..
[질병] 이두근건증(Biceps tendon tendinosis) 안녕하세요. 통증엔 닥터 리 입니다. 이두근건증이란? ▶ 이두근건증이란? "이두근건증"은 팔의 알통근육인 이두근 힘줄이 퇴행되어 약해지고 두꺼워진 질병입니다. ​ ▶ 건염과 건증의 차이 이두근건병증은 이두장건(Long head tendon of biceps brachii)에 염증이 생기는 "건염(Tendinitis)"과, 오랜 시간 퇴행되면서 힘줄이 변성되는 "건증(Tendinosis)"으로 나뉩니다. ​ 이두근건증은 이두근의 힘줄이 당겨지고 쓸리면서 미세하게 뜯어졌다 아물었다를 반복하면서 힘줄의 구성 성분이 약하게 변성되는 것입니다. (이때 "건=힘줄"입니다.) ​ 힘줄은 콜라겐 타입 1형으로 대부분 이루어져 있습니다. 콜라겐의 유형은 실의 종류라고 보시면 됩니다. 가장 딴딴한 실이 1형입니다. 콜라겐..
[질병] 발뼈골절-리스프랑골절(Lisfranc fx) 1. 리스프랑골절이란? 리스프랑 골절이란 발뼈에서 발의 안정성을 담당하는 발뼈의 골절을 말합니다. 리스프랑 관절은 발에서 3개의 설상골(cuneiform bone)과 1개의 입방골(cuboid bone), 그리고 5개의 중족골(metatarsal bone)의 기저부가 만나는 관절입니다. 다섯 개의 중족골의 기저부의 머리는 횡중족인대(transverse metatarsal ligament=intermetatarsal ligament)로 단단하게 연결어 있습니다. 내측 설상골의 가쪽상부에서 제2 중족골의 기저부와 비스듬하게 연결된 인대를 리스프랑 인대(Lisfranc ligament)라고합니다. 이 리스프랑인대는 발등을 밟히거나, 발등을 부딪힌경우 등에 의해서 손상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때 제1 중족골과..
[질병] 손목 교차증후군(Intersection synd.) 안녕하세요 통증엔 닥터 리 입니다. 교차증후군이란? "교차 증후군"이란 "교차"라는 말 그대로 힘줄뭉치끼리 교차되는 지점에서 마찰되며 나타나는 일종의 건초염입니다. 교차증후군은 근위부 교차증후군과 원위부 교차증후군으로 나뉩니다. ​ 근위부 교차 증후군(Proximal intersection synd.) ▶ 발병부위와 발생원인 교차되는 힘줄은 1번 손가락을 움직이는 두개의 힘줄묶음인 1번 구획건(APL, EPL; 손목건초염과 관련된 힘줄)과 2, 3번째 손가락과 연관된 2번 구획건(ECRB, ECRL)입니다. 이 두 힘줄묶음이 교차되는 각도는 대략 60도 정도 입니다. 손목을 많이 굽혔다가 폈다 하게되면 힘줄묶음이 교차되는 부위가 마찰되어 손상되면서 염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 증상 통증 부위는 손목건초염..
[질병] 두개내압 항진,저하성 두통 안녕하세요. 통증엔 닥터 리 입니다. 1. 개요 1) 특발성 두개내압항진 특별한 이유없이 두개내압력이 증가하면서 두통이 생기는 질환으로서 과거에는 가짜 뇌종양이라는 용어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로 비만여성이나 임신가능한 젊은여성에서 흔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 자연발생 두개내압 저하 항진과 반대로 특별한 이유가 없는 상태에서 두개내 압력이 떨어지면서 두통이 동반되는 질환입니다. ​ 2. 발병의 기전 1) 특발성 두개내압항진 뇌척수액이 과도하게 생산되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인으로 비만, 비타민A 과다, 부갑상선기능저하, 스테로이드, 항생제(테트라사이클린), 등이 원인일 수 있으나 주 원인은 비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자연발생 두개내압저하 뇌척수액이 어디에선가 새어나가면서 발생합니다. 보통 뇌척..
[질병] 손목 퇴행성 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 wrist) 1. 개요 손목을 이루는 모든 관절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주상골(Scaphoid)와 관련되어서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거의 손목의 관절염에서 90%이상이 주상골과 관련되어 있다고는 연구도 있습니다. 외상 후에 주상골이 잘 붙지않아 생기는 부정유합이나 무혈성 괴사가 주요 원인일 수 있고, 주상골 주변에 인접한 관절의 손상이 중요한 원인이 됩니다. 다른 부위의 퇴행성관절염과같이 수년동안 서서히 심해지고, 손목통증과 관절의 경직과 관절운동범위의 제한이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앞서 말했듯 퇴행은 주상골주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보통 처음에는 요골경상골기(Radial styloid)와 주상골의 닿는 부분에서 관절염이 우선 발생되고 이 후 주변 관절로 침범하게 됩니다. 2. 해부학 손목에 작은 뼈..
[질병] 손목뼈, 주상골 골절(Scaphoid fracture) 1. 주상골 골절이란? 우선 주상골(Scaphoid)은 손목뼈에서 요골쪽에 위치한 뼈입니다. 주상골 골절은 손목뼈에서 가장 흔하게 골절되고 특히 젊은 남자에서 골절이 많습니다. 특히 자전거나 오토바이를 타거나 축구 등의 운동 시에 넘어지면서 손을 뻗다가 많이 발생합니다. 주로 넘어질 때 팔꿈치를 뻗으면서 손목을 뒤로 젖힌 상태로 바닥에 짚은 경우(신전, 수배굴곡)에 손목 관절의 8개의 뼈 중 주상골의 골절이 흔히 일어납니다. 주상골은 크기가 작아서 엑스레이 사진에서 골절확인이 잘 안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골절인데도 불구하고 환자는 영문을 모른채로 치료없지 지내다가 나중에 확인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주상골은 손목 관절뼈 중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골절이 된 이후에는 뼈가 잘 붙지않는 불유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