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32)
[질병] 발 바깥쪽 통증, 비부골 증후군 (Os peroneum synd.) 안녕하세요. 통증엔 닥터리 입니다. 개요 비부골은 장비골근(peroneus longus)의 힘줄 안에 있는 종자골(Sesamoid bone)으로서, 보통 말랑말랑한 연골 형태로 존재하지만, 5명 중 1명에서는 완전히 골화되어 딱딱하게 관찰될 수 있습니다. 이 비부골(Os peroneum)이 문제가 생겨서 발 바깥쪽 통증이 생기면 비부골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흔하지는 않습니다. 비부골이 관찰되는 위치는 장비골근힘줄이 종골(Calcaneus)과 입방골(Cuboid)관절 사이의 아래쪽의 터널(Cuboid Sulcus) 부근에서 관찰됩니다. 비부골의 위치는 Calcaneocuboid joint line에서 앞뒤 1cm으로 존재합니다. 따라서 1cm보다 근위부에 존재한다면 장비골근힘줄의 파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어깨의 퇴행성 관절염, 오십견과 비슷한 증상처럼 보이지만 60세 이상에서 보통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통증 엔 닥터 리 입니다. 개요 어깨의 퇴행성 관절염은 오십견과 감별진단이 필요합니다. 호소하는 증상이 비슷해 보일 수 있으나, 오십견은 관절을 감싸는 "관절낭 자체"가 염증으로 굳어지는 것이고,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에 연골이 퇴행되어 염증이 "관절낭 안"에 구조물에 염증이 생기는 차이가 있습니다. 두 질환의 증상은 유사해 보이지만 호발연령대가 다른것이 큰 특징이 되겠습니다. 퇴행성 질환이라는 말 뜻에서 알 수 있듯이 보통 60세 중반 이상에서 호발합니다. ​ 분류 일차성 : 원인을 알 수 없을 때 일차성이라고 부릅니다. 이차성 : 퇴행성 관절염의 원인이 분명할 때 이차성이라고 합니다. 대표적 원인은 습관성 탈구, 어깨의 불안정성, 외상, 수술, 감염 등이 있겠습니다. ​ 어깨 관절의 연골손..
어깨통증에 흔히 사용되는 신경차단술, 액와신경차단(Axillary nerve block) ​유튜브 채널 "통증N 닥터.리" https://www.youtube.com/@user-bo1lt3xt1e 통증Ⓝ 닥터.리 마취통증의학에서 다루는 질병들과 마취 지식을 알려드리는 채널입니다. 시간이 날 때 틈틈히 혼자 제작하는 거라서 업로드가 다소 느릴 수 있어 양해바랍니다. 감사합니다 www.youtube.com 해부학 액와신경(Axillary nerve)은 감각과 운동을 모두 지배하는 신경입니다. 경추신경 C5, 6번에서 신경이 나오게 됩니다.(참고로 견갑상신경도 C5, 6에서 나옴) 위쪽 그림 빨간색 라인처럼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을 따라 내려오다가 겨드랑이 아래쪽으로 액와신경이 분지해서 들어가서는 어깨뒤쪽으로 휘어감아 나옵니다. ​ 위 우측 그림은 더 자세히 확대한 그림으로서, ..
"목, 어깨통증, 팔저림"에 "경추신경주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통증엔 닥터 리 입니다. 목신경이 눌리게 되면 어깨, 팔로 저리고, 타는듯한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팔을 머리위로 올리거나 누우면 통증이 감쪽같이 사라지기도 합니다. 이럴 경우에 "경추신경근 주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시술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 ​ ​ 경추신경근 통증이란? "목신경이 눌리면 어깨, 팔까지 통증이 내려올 수 있습니다." "증상은 저리거나, 타는듯하고, 무감각, 심하면 힘빠짐이 있을 수 있습니다."​​ ​ ▶ 신경뿌리병증 증상 경추신경이 눌리면서 신경이 피부에 분포된 피부분절을 따라서 저리거나, 타는듯하거나, 무감각하거나 하는 증상이 생길 수 있고, 더 증상이 심해지게되면 팔에 힘도 빠질 수 있습니다. 경추신경의 문제인데 어깨나 팔이 아프니까 ..
"늑골골절"은 기침만 심하게 해도 생길 수 있습니다. 늑골골절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통증엔 닥터 리 입니다. 병원에 "늑골골절"로 내원하시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원인은 재채기부터, 외상에까지 여러 원인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치료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 ​ 늑골골절이 흔한가요? ​ 병원에 늑골골절(갈비뼈 골절)로 오시는 환자가 꽤 많습니다. 심하게 재채기를 한 후 생긴 늑골골절부터, 교통사고나 낙상에 의해 발생한 경우까지 매우 다양하고, 심한 경우는 부러진 늑골 끝이 폐를 찔러서 폐에 공기가 들어가는 기흉으로 고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슴을 다쳐서 온 환자의 40% 내외에서 늑골골절을 발견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심하게 재채기만 해도 늑골에 금이 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젊은 사람도 기침만으로도 금이 갈 수 있습니다. 늑골이 정확히 뭐죠? 늑골..
테니스 엘보, 외측상과염 초음파 검사 방법 안녕하세요. 통증엔 닥터 리 입니다. 간단해부 ▶팔춤치 외측 구조물 공통 폄근 힘줄(Common extensor tendon) 가측 측부 인대(Lateral collateral ligament complex) 요골두(radial head and annular recess) 소두( Capitellum) 요골신경과 후골간신경(radial nerve and posterior interosseous nerve) 검사 ▶ 검사자세 테이블 반대편에 앉게 한 후 보통 종단면으로 초음파 관찰한다. 또는 바로눕게한 후 팔을 90도 굽힌 후 관찰해준다. ▶ 상완요근(위팔노근, Brachioradialis) 상완요근(위팔노근, Brachioradialis)은 힘줄이 없이 근육 그대로 뼈에 외측상과융선(Supracondyla..
테니스 엘보의 비수술치료, 수술치료 방법 안녕하세요. 통증엔 닥터리 입니다. 비수술 치료 ​ 1단계 : 휴식, 도수, 물리치료 정도로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2, 3 단계 : 힘줄의 부분 파열이 보이는 단계로서 체외충격파, 주사치료가 필요합니다. 4단계 :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할 수 있습니다. ​ 기본치료 및 적극적 치료 ▶ 보존치료 및 유발 행동 제거 휴식하는 것이 우선 제일 중요합니다. 특별한 치료 없이 1년 정도 휴식을 하게 되면 90%에서 자연치료가 되지만, 팔을 아예 쓰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적극적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휴식을 충분히 하지 않으면 여러 치료를 받아도 금방 재발하기 쉽습니다. 피해야 할 행동으로서 악력기같이 움켜쥐는 행동 피하기, 테니스나 배드민턴과 같은 라켓 운동 피하기, 등이 있습니다. 보조기치료로..
테니스엘보는 무엇이며, 진단은 어떻게 하나 안녕하세요. 통증 엔 닥터 리 입니다. 개요 테니스엘보는 정식명칭은 외측상과염입니다. 병명이 마치 테니스 치는 사람들이 주로 생긴다고 오해를 일으킬 수 있지만, 실제 외측상과염의 90% 테니스를 치지 않는 사람들에서 발생합니다. 팔꿈치에 생기는 이 질병은 손목을 펴는데 쓰는 근육들의 힘줄이, 팔꿈치 뼈에 붙는 부위에 발생하는 건병증(Tendinopathy)입니다. 여기서 건병증은 건염(Tendinitis)과, 건증(Tendinosis)으로 나뉘는데 여기서 외측상과염은 건증에 가깝습니다. 건증은 퇴행성 변화로 인해서 보통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 팔을 펴는 근육들이 힘줄들을 "총신건(Common extensor tendon)" 이라고 하며, 이 힘줄들은 팔꿈치의 "외측상과(Humeral lateral epi..